민수기 32장은 요단 동편의 땅을 르우벤과 갓 지파가 요구한 내용이 기록되었다.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도 않았는데 먼저 땅을 요구하고 있다. 결국 모세는 허락했고 전쟁에 선봉에 나가서 싸워야 했다.
I.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의 요청 32:1-15
이스라엘은 모압 평지에 장막을 치고 있었다. 그들이 여기서 잠시 쉬고 있는 동안 이미 정복한 땅의 처분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이 결정은 하나님의 어떤 특별한 명령이나 지시에 의한 것이 아니고 이스라엘 두 지파의 특별한 제의와 요청으로 결정한 것이었다. 그리고 모세는 그 요청에 대해 많은 논쟁을 거친 후에 동의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1.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의 제안(1-5)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의 제안은, 최근에 점령하여 이스라엘의 공동 소유가 된 땅을 그들의 기업으로 할당해 달라는 것이었다. 세상의 일반적인 욕구들인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요일 2:16)은 이 지파들로 하여금 이러한 선택을 하게 했고 그 땅에 대해 그러한 제안을 하도록 만들었다.
(1) ‘안목의 정욕’ 이 작용했던 것이다. 그들이 탐내는 이 땅은 위치가 아름답고 보기에 좋을 뿐만 아니라 식량, 곧 가축을 위한 식량도 풍부한 곳이었다. 이 두 지파는 다른 지파들보다 가축 떼가 심히 많았다. 사실 그들은 이처럼 많은 가축 떼를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에 알맞은 땅을 탐낸 것이었다.
(2) ‘이생의 자랑’이 작용했던 것이다. 필시 그들의 이러한 제안에는 다소간 ‘이생의 자랑’이 작용했던 것이었다. 르우벤은 이스라엘의 장자였지만 장자권을 상실하였다. 그래서 그는 비록 그 땅이 가나안 밖에 있으며 성막에서 멀리 떨어진 곳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여기에서 첫 번째 분깃을 얻으려고 애쓴 것이다. 갓 지파는 실바의 장자의 후손들이며 르우벤 지파와 같은 요구를 하였다. 므낫세도 장자였지만 그의 어린 동생 에브라임에게 뒤쳐져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도 역시 우선권을 갖기를 몹시 원했다.
2. 이 제안에 대한 모세의 반응(8-15)
모세는 신실한 통치자요 선지자로서 이 제안을 싫어했으며 그에 대해서 엄한 책망을 하였다.
(1) 그 제안은, 특별히 그 청원의 마지막 말은 언뜻 보기에도 악한 것임에 틀림없었다. 우리로 요단을 건너지 않게 하소서(5절). 그 말은 약속의 땅을 멸시하는 악한 생각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그 말에는 또한 탐심이 있었던 것 같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 땅이 그들의 가축에게 적당하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제안은 또한 이스라엘이야 어떻게 되든 자기들만 잘 살게 되면 된다는 그들의 형제를 무시하는 듯이 보이는 제안이었다.
(2) 그러므로 모세는 그들에 대해 매우 분노하였다.
1) 모세는 그들에게 이 제안에서 악하다고 여겨지는 점을 지적하며, 그것이 그들의 형제를 낙담케 만들 것이라고 말한다(6,7절).
2) 모세는 그들의 열조들이 지금의 그들처럼, 막 가나안에 들어가려고 준비하고 있을 때 그들의 불신앙과 소심함으로 인해 당하게 된 치명적인 결과를 그들에게 상시기킨다. 그는 그 이야기를 아주 상세하게 말한다(8-13절).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3) 모세는 그들이 이슬라엘 진에서 떨어져 나감으로써 초래될 재앙에 대한 올바른 경고를 그들에게 내린다. 즉 그들은 회중에게 하나님의 진노를 내리게 하고 백성들로 다시 급히 광야로 되돌아가게 만드는 위험을 초래하려고 한다는 것이다(14,15절).
Ⅱ. 청원에 대한 해명과 승낙 32:16-27
여기서는,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가 요단 이편에 정착하는 문제에 대해서 모세와 그들 사이에 조정이 이루어짐을 볼 수 있다. 그들은 합의를 하여 그들의 형제들이 가나안을 정복하는 일에 그들의 군사들이 가서 돕되 그들의 가족과 가축은 이 땅에 남겨 놓고 떠나겠다는 제안을 가지고 모세에게 돌아왔다. 이렇게 해서 그들의 제안은 수락 될 수 있었다.
(1) 그들의 이 제안은 매우 공정하고 관대하여 그들의 형제를 낙담시키기보다는 오히려 격려하는 것이었다. 그들의 제안은 다음과 같은 것이었다.
1) 봉사하기에 합당한 군인들은 ‘무장하고 이스라엘 자손을 그곳으로 인도하기까지 그들의 앞에 행하며'(17절) 가나안 땅에 들어 가겠다는 것이다.
2) 그들은 그들의 가족과 가축을 뒤에 남겨 두고 떠나겠으며(그렇지 않으면 그것들은 그들의 진군에 방해거리만 될 것이다)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의 형제를 더욱더 잘 돕겠다는 것이다(16절).
3) 그들은 가나안 정복을 마칠 때까지 그들의 집으로 돌아 오지 않겠다는 것이다(18절).
4) 게다가 그들은 아직 정복되지 않은 그 땅에 대해서는 어떠한 몫도 전혀 기대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2) 이에 대해 모세는 그들이 그 제안을 지키리라고 생각하여 그들의 요청을 수락하였다.
1) 모세는 그들의 형제가 무기를 놓기 전에는 그들이 결코 무기를 놓아서는 안된다는 점을 매우 강조하였다. 그들은 무장하고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행하겠다고 약속하였다(17절). 이에 대해 모세는 ‘너희가…무장하고 여호와 앞에서 가서 싸우되'(20,21절)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그 싸움은 그들의 형제들을 위한 싸움이라기보다는 하나님을 위한 싸움이었기 때문이다.
2) 모세는 이러한 조건으로 그들에게 이 땅을 차지하도록 허락하였다.
3) 모세는 또한 그들이 그 약속을 파기할 때의 위험을 그들에게 경고한다. 너희가 만일 그같이 아니하면 여호와께 범죄함이니 너희 죄가 정녕 너희를 찾아낼 줄 알라(23절). 죄는 틀림없이 조만간에 죄인을 찾아내리라는 것을 주의하자.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죄가 우리를 찾아내어 파멸과 당혹함에 빠뜨리지 않도록, 우리 스스로가 우리의 죄를 찾아내어 그것을 회개하고 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그들은 그 허락의 단서와 조건에 만장일치로 동의하고, 엄숙한 서약으로써 약속 이행을 보증한다. 우리 주의 명대로 종들이 행할 것이라(25절).
Ⅲ. 요단 동편 기업의 수여 32:28-42
(1) 모세는 가나안 정착이 완료될 때까지 살지 못할 것을 알고, 이 문제를 엘르아살과, 자기 후계자가 될 여호수아와 함께 결정했다(28-30절). 그는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에게 조건을 전제로 그 땅을 수여하되, 만일 그들이 조건을 이행하면 그 땅을 틀림없이 그들의 것으로 공표하도록 여호수아에게 지시한다. 이에 대해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는 그들의 형제들을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되풀이한다(21,32절).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2) 모세는 그들이 구한 땅에 그들을 정착시킨다. 여기서 그들과 함께 이 땅에서 한 몫을 얻기 위해 나오는 므낫세 반지파에 대한 언급이 처음으로 나온다. 이 지파들의 정착에 관하여 다음 두 가지 점을 살펴볼 수 있다.
1) 그들은 성읍을 건축하였다. 즉 성읍들을 보수하였다.
2) 그들은 성읍들의 이름을 바꾸었다(38절). 왜냐하면 그 성읍들의 이름은 느보와 바알로서 이스라엘 백성에게는 부르는 것조차도 금지된 이름들이었기 때문이었다(출 23;13). 그들은 이 성읍들의 이름을 바꿈으로써 그 우상들을 망각 속에 묻어버리려고 애썼다.